하정마을(황산도)
비석 마을여행 투어
관내 73기 비석, 26개 마을 중 역사적 의미를 가진 비석을 주제로 금정 비석 마을여행
투어 코스를 소개합니다.
비석 마을여행 코스 소개
황산도와 소산역 이야기
.gif)

하정마을(황산도) 위치 : 금정구 선두구동 일원
- - 황산도 : 한양과 동래를 잇는 큰길인 영남대로 중 양산의 황산역을 중심으로 밀양·기장·언양∼경주·울산·동래 방면의 역로
- - 황산도 동로는 황산역에서 부산으로 연결되는 역로
.jpg)
황산이방최연수애휼역졸비(黃山吏房崔延壽愛恤驛卒碑) 위치 : 금정구 선동 918-2(황산도 금정쉼터 옆)
- - 이방 최연수가 역졸을 아끼고 보살피는 인격과 덕망이 높아 상급관리들이 세운 송덕비
- - 비석에서 황산도와 소산역이라는 이름이 나와 이를 입증하는 비석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높음
.jpg)
수의상국이공만직영세불망비(繡衣相國李公萬稙永世不忘碑) 위치 : 금정구 선동 918-2(황산도 금정쉼터 옆)
- - 암행어사 이만직이 영세한 소산역에 세금을 탕감한 은혜를 잊지 못해 소산역 관원들이 송덕시를 적은 비석
.jpg)
동래부사조재민청덕선정만고불망비(東萊府使趙載敏淸德善政萬古不忘碑) 위치 : 금정구 두구동 1482-2
- - 부사 조재민의 선정에 혜택을 입은 동래부의 동면과 북면 지역 백성들이 세운 마애비
.jpg)
동래부사정이검청덕선정만고불망비(東萊府使鄭履儉淸德善政萬古不忘碑) 위치 : 금정구 두구동 1482-2
- - 부사 정이검(1742~1743 재임)의 지역 개발과 부역 면제 등의 혜택을 받은 백성들이 갈록산 기슭에 세운 마애비
.jpg)
경거가선대부양공유하이혜불망비(京居嘉善大夫梁公有夏貽惠不忘碑) 위치 : 금정구 노포동 1025-4
- - 서울에 거주하는 가선대부(종2품) 양유하가 1731~1733년까지의 대흉년 때 굶주린 백성에게 곡식을 나눠주고 죽은 시체를 묻어준 공덕을 기려 동래·양산 주민이 함께 세웠다고 적혀있음
- - 비석 뒷면에 나오는 '동래(東萊) 양산(梁山) 병립(幷立)'을 '함께 세웠다'가 아닌 '경계'로 잘못 해석해 비석의 앞과 뒤가 뒤바뀌어 부산쪽으로 뒷면이 있고 양산쪽으로 앞면이 세워짐
본 저작물은 "공공누리" 제4유형:출처표시+상업적 이용금지+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.
- 담당부서 :
- 문화관광과
- 연락처 :
- 051-519-4085